밴드타입 점자키보드 'B DOT'(사진 왼쪽)과 접이식 막대형 점자키보드 'T DOT'. ⓒ서인환

시각장애인들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데 있어 접근성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스마트폰은 화면터치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가 없고, 음성으로 듣고 포인트를 이동한다고 하더라도 복잡한 화면을 자유롭고 빠르게 찾을 수가 없다. 컴퓨터의 경우 키보드는 자판 위치를 익혀 입력할 수 있으나 컴퓨터는 휴대가 어렵고, 화면 상황을 파악하고 조정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시각장애인들은 별도의 점자단말기를 사용해 왔다. 컴퓨터도 아니고 스마트폰도 아니지만 그러한 기능을 상당수 포함한 별도의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IT 세상은 비장애인의 세상과는 다른 별도의 세상이 되어 버렸다. 그리고 점자 출력을 위한 장치의 탑재로 인하여 매우 비싼 가격을 치러야 했다. 물론 정부의 정보통신기기 보급 지원이나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의 지원으로 일부 부담이 해결된다 하더라도 무거운 단말기를 가지고 다녀야 한다는 문제 등은 여전히 해결할 수 없었다.

시각장애인에게는 입력과 출력 장치 모두의 접근이 어렵다. 스마트폰은 입력과 출력이 화면 하나로 해결되고, 컴퓨터는 별도로 키보드와 모니터로 이루어지지만, 출력 상황을 알지 못하니 입력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파악할 수 없어 입력과 출력 모두에 접근이 어려운 것이다.

입력은 위치를 외워서 키보드로 조정할 수 있고, 출력은 음성으로 나오도록 하는 것으로 해결된 것처럼 보이나, 음성으로 눈을 대신하여 복잡한 화면을 이해하는 것은 너무나 어렵다. 그리고 주로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을 키보드만으로 작동하기는 어렵다. 입력은 단순히 키보드 조작이 아니라 위치를 눈으로 맞추는 마우스 조작이 가능해야 하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컴퓨터의 기능을 포함하면서 터치스크린에서는 더욱 그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나날이 업그레이드되고 있는 소프트웨어들의 장점들을 포기하고 시각장애인들은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고 별도의 단말기로 만족해야 하는 것은 정말 불공평하다.

스마트폰의 어려움에서 블루투스 키보드를 사용하면 입력은 한결 쉬워진다. 그런데 점자키보드를 사용해 입력한다면 키보드 부피는 더욱 작아진다. 그리고 이 키보드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컴퓨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건융아이비씨는 청각장애인과 시각장애인 보조기기 전문 개발사로 이번에 이러한 점자 키보드를 개발하여 국내외에 선보이고 있다.

키보드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손목 밴드인데, 밴드를 하고 다니다가 풀어서 펼치면 점자 키보드가 된다. 또 하나는 삼각대 모양으로 펜처럼 가지고 다니거나 목에 걸고 다니다가 펼치면 세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점자 키보드가 된다.

점자로 입력을 하면 자동으로 보는 글자의 코드로 번역이 되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조정하거나 문서 입력이 가능하다. 만약 새로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용으로 나오면 그것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할 경우, 전용 앱을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된 조정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점자로 입력하면 점자는 약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여러 점을 동시에 한 번에 눌러 일반 키보드에서의 몇 개의 키보드를 한 번에 누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점자로 입력하면 속도도 매우 빠르다.

스마트폰에서 글을 입력하는 것만이 아니라 전화 받기, 음악듣기, 등등 다양한 명령을 하거나, 화면의 앱들을 탐색하여 음성으로 찾는 등의 기능도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조정하여 전화를 걸 수도 있고, 카톡이나 기타 SNS를 주고받을 수 있으니 별도의 단말기가 아닌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접근성을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연 것이다.

이제 시각장애인들은 터치화면에 대한 두려움 없이 보다 손쉽게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렇다고 큰 비용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이번에 개발된 보조기는 안드로이드나 아이폰 모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 키보드는 접는 키보드 등으로 간편하게 휴대하도록 개발하고 있으나, 시각장애인의 점자키보드처럼 입력키가 단순화되어 있지 않아 손목에 차는 키보드만큼 간편하고 휴대하기 편하지는 않으니 오히려 시각장애인이 휴대성은 더 뛰어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화면 포인트 이동이나 전화번호 입력 방식, 문서편집에서의 명령키 등 몇 가지 핫키들은 시각장애인들이 외워서 사용해야 한다는 익숙화 과정은 필요하다. 이제 신제품들의 맛을 보게 되면 시각장애인들로부터 인기가 폭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왜 이제야 이런 편리한 제품이 나왔는지 정말 반갑다.

500만원이 넘는 점자단말기를 이제는 비장애인과 같은 정보통신 기기를 사용하면서 비용은 30만원대로 충분한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 기기의 보급에도 정부가 적극 지원해 주기를 바란다. 정보사회에서의 평등권은 장애인에게 행복권을 보장해 줄 것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서인환 칼럼니스트
현재 사단법인 장애인인권센터 회장, 한국장애인고용안정협회 고용안정지원본부장을 맡고 있다. 칼럼을 통해서는 아·태 장애인, 장애인운동 현장의 소식을 전하고 특히, 정부 복지정책 등 장애인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이슈에 대해 가감 없는 평가와 생각을 내비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에이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